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알아보기

2023년 청년 도약계좌 알아보자!

 

 

 

 

오늘은 청년도약예좌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약계좌란 5년 동안 적금 형태로 70만원 한도내에서 적금하면, 월 5천만원의 목돈을 마련해주는 제도인데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함께 윤정부에서 공약했던 청년자산형성 제도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청년이라고 해서 모두가 신청이 가능한 것은 아닌데요. 그렇다면 신청대상은 어떻게 될까요? 다음 글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신청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나이와 소득 2가지를 만족해야 하는데요.

 

​✅ 나이조건

나이의 경우는 청년 만 19세에서 34세까지 가능합니다. 남성분들 중에서는 병역 이행을 하신 분들이 계실텐데요. 병역 이행을 하신 기간만큼 자격조건이 연장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최대 6년까지 가능합니다.

​✅ 개인소득

​두번째로 만족해야 할 기준은 개인소득인데요. 개인소득의 경우는 총급여 7,5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단, 6,000만원 이상 ~ 7,500만원 이하인 분들의 경우는 정부지원금 없이, 비과세 혜택만 적용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직전 3개 연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인 경우엔 가입이 불가합니다.

​✔ 금융종합과세 대상자란?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사람

​✅ 가구소득

​도약계좌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들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청년 개인의 자산뿐만 아니라 가구 전체 자산 역시 보게 되는데요.

​가구소득의 경우는 중위소득 180% 이하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가구별 소득 중위 180%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세전)​

​– 1인 가구 기준 3,740,206원​

– 2인 가구 6,221,079원​

– 3인 가구 3,982,669원

– 4인 가구 9,721,735원

– 5인 가구 11,395,238원


그렇다면 도약계좌에 가입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은 어떻게 될까요? 지원부분에 있어 지원금액은 자신의 개인소득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즉 70만원 × 12개월 × 5년 = 4,200만원을 적금하면 5,000만 원으로 돌려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이 납입할 수 있는 한도는 월 70만원으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매칭 비율의 경우는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렸듯이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구간은 6,000만원 이하이며 그 이상의 경우는 비과세 혜택 밖에 받을 수 없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그렇다면 금리는 얼마나 받을 수 있고, 어떤 종류로 진행되는 걸까요? 먼저, 금융위원회에 의해 결정된 사항에 대해서만 말씀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가입후 3년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예정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
6월 1일에 공식적으로 발표된 자료는 위와 같습니다. 금리 결정 수준의 경우, 기업은행은 4.5% 나머지 은행은 3.5%의 금리를 갖게 됩니다

청년도약 신청기간 및 방법

 

 

청년희망적금 최신 NEWS - 크리밍 뉴스

▼ 원하시는 청년희망정책 관련 내용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청년희망적금 NEWS 신한은행, 안심전환대출 고객에 24시간 AI 상담 제공챗봇 '오로라'에서도 '안심전환대출' 상담을 제공

king.creaming.net

✅ 신청기간

​그렇다면 제일 중요한 신청기간 및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신청기간의 경우는 2023년 6월 15일부터 23일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 뒤로는 7월 첫째주부터 2023년 12월까지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인데요.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고, 2-3주 내에 심사가 완료되어 결과가 통보되게 됩니다.

비대면 심사를 실시하며, 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유지심사가 진행됩니다. 5년 동안 적금을 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금을 내지 못하게 될 경우 해지가 될 수도 있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신청방법

​신청방법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취급기관의 앱을 이용해서, 온라인 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취급기간은 총 11곳의 은행에서 진행되는데요.

15일부터 21일까지는 신청자들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5부제가 적용됩니다.

​15일 : 3,8
16일 : 4,9
19일 : 0,5
20일 : 1,6
21일 : 2,7

 

22일부터 23일까지는 출생연도 기준과 상관없이,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취급은행 어플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가구원 확정과 관련되어 관계가 단절된 경우는 대면으로 심사 진행이 가능합니다. 6월부터 매달 가입을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심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가구원은 가입 당시를 기준으로하며, 개인 및 가구소득은 22년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21년 과세기간 소득기준으로 가입 가능여부가 판단됩니다.



✅ 서류는 어떤 게 필요한가요?

​최대한 비대면 심사를 통해 별도의 서류 없이 가입할 수 있도록 진행중입니다. 앱을 통해 비대면 인증, 소득확인을 통해 가입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될 예정입니다.


✅ 출시 전년도 소득 확인이 어려울 때?

​출시 시 전년도 소득 확인이 어려울 때, 전전년도 소득으로 가입이 가능한지 문의주시는데요. 2023년 7-8월에 직전 과세기간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전전년도 확정소득을 이용해 가입해보실 수 있습니다.


✅ 주기적으로 소득재심사가 되나요?

​네, 1년마다 소득재심사가 됩니다. 왜냐하면, 개인의 소득에 따라 기여금 비율이 매칭되기 때문에, 소득이 줄어들거나 늘어났다면 그에 따라 기여금액을 다르게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소득심사는 가구소득을 제외하고 개인 소득만 진행됩니다. 만약 자신의 소득이 6,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다음 심사 때까지 비과세혜택만 지원됩니다.

​✅ 가입한 다음 나이요건에서 벗어났을 경우

​가입했는데 나이요건 충족이 안됐을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입할 때, 기준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입한 후 나이요건 충족이 안돼도 적금 유지는 계속 됩니다.

​✅ 5년 만기 전 중도해지는?

​해지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되면 본인납입금 이외에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혜택 역시 적용됩니다. 하지만, 특별중도해지 요건이 되지 않는다면 정부지원금 및 비과세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 특별중도해지 요건이란? 조세특례제한법에 해당되는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에 해당하여야 합니다.

​23년 8월경우 
ㆍ8.1-11 신청가능하고
ㆍ은행앱으로 신청하고
☆등본상 자매는 소득 합하지 않음 ​
ㆍ작년 소득을 기준으로 신청
ㆍ중도해지시
특별중도해지 요건 해당되면
정부기여금지급되며 
비과세 혜택적용됨